최근 소비자 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지수도 큰 폭으로 하락한 미국. <br /> <br />물가 잡겠다며 전례 없이 높였던 금리 인상 속도를 낮출 거란 기대감이 한층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2월 4연속 자이언트 스텝의 보폭을 한 단계 줄인 데 이어 이번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에서 0.25%p만 올릴 거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대학 교수 : 물가지수 자체가 급격하게 떨어지지는 않지만 예측한 대로 가고 있다는 특성, 시장에서는 거의 0.25%포인트를 올리는 베이비스텝이 가장 유력하다, 거의 100%까지 보는….] <br /> <br />나아가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 논의가 시작될 거란 전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은 "연준이 이번 주 금리 인상 중단 조건을 논의할 거"라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호 / 글로벌 이코노믹 연구소장(YTN 라디오) : 연준이 금리 인상 중단 조건을 이번 주 열리는 금통위에서 시작을 한다" 이렇게 썼어요. 이 양반의 사실상 별명은 '연준 비공식 대변인'입니다.] <br /> <br />현재까지 공개된 점도표 상 미국의 최종 예상 금리 상단은 5.25%. <br /> <br />현재 4.5%에서 두세 차례 더 인상해야 나오는 숫자인데, 예상보다 빨리 멈출 수도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캐나다가 G7 국가 가운데 처음으로 금리 인상 종료를 선언한 것도 강력한 긴축이 끝이 보인다는 전망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으로선 자금의 해외 유출을 일으킬 수도 있는 한미 간 금리 격차에 대한 부담이 한층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(지난 13일) : 지금은 미국이 페이스를 조정하기 시작했고, 기본적으로는 국내 상황을 보면서 금리 결정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미국이 당장 긴축 페달에서 발을 떼진 않더라도 우리는 국내 물가와 경기 상황을 보며 통화정책을 펼칠 여력이 더 높아진 셈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13010415881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